이동평균선은 차트매매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지표입니다. 3개이상을 설정해서 관찰하다보면 특정한 패턴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그 패턴에서만 매매를 하면 수익의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이동평균선의 원리
이동평균선은 캔들의 종가들의 합을 평균내서 만들어집니다. 예를들면 5이평선은 5개의 캔들의 "종가"들의 "합"의 "평균"(나누기5)으로 만들어집니다. 평균이라는 개념때문에 쉽다라고만 생각하시는 분들들이 많으신데요. 120이평선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 캔들 120개의 종가를 모두다 더한 다음에, 다시 그 값을 120으로 나누면 됩니다. 그렇게 마치 장인의 바느질처럼, 한 점씩 연속적으로 찍힌 점을 연결해서 "선"으로 만든 것이 바로 이동평균선입니다. 즉 엄밀히 말하자면, 이동평균선은 점을 선으로 만들어놓은 지표입니다.
- 이동평균선의 의미
이동평균선은 사용자가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5이평선과 20이평선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성향에 따라 60이평선과 90이평선을 중기 이평선으로 사용합니다. 장기 이평선으로는 240, 300, 360 그리고 420선도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어떤 이평선을 설정하는 것이 트래이딩에 가장 좋을까요? 정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닌 이평선을 4개 이하로 조합하는 것!" 이부분에 대해서 조금 더 공부를 해볼까요?
5선: 생명선 - 가장 민감하고 현재 시장의 방향을 실시간으로 말해주고 있는 선입니다.
20선: 세력선 - 해당 종목의 세력이 사고 있는지 또는 팔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선입니다.
60선: 수급선 - (매우중요)시장의 상승과 하락을 판별하는 기준인 "수급"의 방향을 말해주고있는 선입니다.
240선: 추세선 - 지금의 추세가 상승인지 또는 하락인지를 알려주는 선입니다.
저는 이렇게 네가지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위의 이평선중에서 세개(5, 20, 60)만 쓰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각자 설정해서 사용해보시고 편한 선택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위 네 가지의 이평선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60선입니다. 그 어떤 경우에라도 수급에 반대되는 매매로 큰 돈을 벌지 못합니다. 이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기본 매매법
위의 이평선을 모두 세팅하고 차트를 돌려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특정한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보시게 될 겁니다. 안 보이세요? 천천히 다시 관찰해보세요~! 만약에 매수를 할 때는, 더이상 하락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에 매수를 하면 됩니다. 반대로 해외선물이나 FX마진거래의 경우 매도로 진입할 때는 더이상 상승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에 매도를 하면 됩니다.
제가 위에서 60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씀드렸죠? 60선의 기울기가 우상향할 때는 매도금지입니다. 반대로 60선의 기울기가 우하향할 때는 매수금지입니다. 이게 너무 너무 너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평선이 시장의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평선의 기울기와 함께 봐야할 것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수렴과 발산"입니다. 이평선의 기울기에 수렴과 발산을 적용해서 시장을 관찰하면, 재미있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그 현상을 관찰하다보면 반드시 정확한 진입포인트가 나오게 됩니다. 진입포인트는 아무 때나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특정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관찰될 때, 살며시 나옵니다. 그 조용한 카이로스의 시간에 무심하게(!) 진입하면 수익이 쏟아지지요.
따라서 매매는 타이밍의 게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타이밍에 정확하게 진입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핵심이지요. 그러려면 정확한 타이밍을 판별할 수 있는 지식이 필요합니다. 그 지식은 온전히 본인의 것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초보투자자가 이 시장에서 의미있는 수익을 거둘 확률은 0에 수렴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운좋게 beginner's luck이 작동하면 모를까, 그렇게 돈을 번다손 치더라도 결국 매매를 계속하면 결국 다 토해내게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공부를 하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성공투자를 기원합니다.
'차트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교육]외환차트 분석의 원리(파운드/달러) (4) | 2023.03.15 |
---|---|
나스닥 차트가 만드는 가격대 분석하기 (0) | 2023.03.03 |
캔들의 종가가 중요한 이유와 종가매매에 대해서 (0) | 2023.03.01 |
엘리어트 파동이론 실전 적용법 (0) | 2023.02.23 |
RSI 지표 의미와 설정, 활용방법 (0) | 2023.02.04 |
댓글